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프로그래머스
- 타입스크립트
- 알고리즘
- 컴포넌트
- es6
- til
- JavaScript
- JS
- CORS
- localstorage
- 브라우저
- 자바스크립트
- TypeScript
- Redux
- 원티드
- 리액트
- v9
- 프론트엔드
- 파이어베이스
- react localStorage
- axios
- 프리온보딩
- Reducer
- state
- 비트 연산자
- Frontend
- Component
- firebase
- react
- array
Archives
- Today
- Total
도리쓰에러쓰
[React] 상태 업데이트 로직을 컴포넌트와 분리할 수 있는 useReducer() 본문
![](https://blog.kakaocdn.net/dn/dxt6zi/btrHp2paqU2/j35Lnx1XYaWkExJHAk2CB0/img.png)
1. useReducer()
상태를 업데이트할 때 useState()를 주로 사용했는데 useReducer()로도 상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useReducer()를 사용하면 컴포넌트의 상태 업데이트 로직을 컴포넌트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우선 reducer는 현재 상태와 액션 객체를 파라미터로 받아와 새로운 상태를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
// 새로운 상태를 만드는 로직
// const nextState = ...
return nextState;
}
reducer에서 반환되는 상태는 컴포넌트가 지닐 새로운 상태이다.
여기서 action은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action의 예시는 아래 코드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 카운터에 1을 더하는 액션
{
type: 'INCREMENT'
}
// 카운터에 1을 빼는 액션
{
type: 'DECREMENT'
}
// input값을 바꾸는 액션
{
type: 'CHANGE_INPUT',
key: 'email',
value: 'dohee@naver.com'
}
// 새 할 일을 등록하는 액션
{
type: 'ADD_TODO'
todo: {
id: 1,
text: ‘조깅하기’,
done: false,
}
}
reducer를 알았으니 useReducer()의 사용법을 알아보자.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initialState);
1️⃣ state :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
2️⃣ dispatch : 액션을 발생시키는 함수, dispatch({ type: ‘INCREMENT’ })
useReducer()의 사용법을 알았으니 useState()만 사용한 예시와 useReducer()를 사용한 예시를 비교해보자.
📍useState() 사용한 예시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Counter() {
const [num, setNum] = useState(0);
const plusBtnClickHandler = () => {setNum(prev => prev + 1)};
const minusBtnClickHandler = () => {setNum(prev => prev - 1)};
return (
<>
<p>{num}</p>
<button type='button' onClick={plusBtnClickHandler}>+1</button>
<button type='button' onClick={minusBtnClickHandler}-1</button>
</>
);
}
export default Counter;
📍useReducer() 사용한 예시
import { useReducer } from ‘react’;
const reducer = (state, action) => {
switch (action.type) {
case ‘INCREMENT’:
return state + 1;
case ‘DECREMENT’:
return state - 1;
default:
return state;
}
}
function Counter() {
const [num, dispatch] = useReducer(reducer, 0);
const plusBtnClickHandler = () => {dispatch({ type: ‘INCREMENT’ })};
const minusBtnClickHandler = () => {dispatch({ type: ‘DECREMENT’ })};
return (
<>
<p>{num}</p>
<button type=‘button’ onClick={plusBtnClickHandler}>+1</button>
<button type=‘button’ onClick={minusBtnClickHandler}>-1</button>
</>
);
}
export default Counter;
위 예시를 보면 dispatch를 통해 액션을 발생시켜 지정한 type의 일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eact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얕은 비교와 깊은 비교의 차이 (1) | 2022.08.03 |
---|---|
[React] 커스텀 Hook이란? (0) | 2022.07.16 |
[React] 리액트 렌더링 성능 최적화 (Performance Optimize) (0) | 2022.07.15 |
[React] 라이프사이클(Lifecycle)에 대해 (0) | 2022.07.13 |
[React] useCallback()과 useMemo() 사용하기 (0) | 2022.05.0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