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프로그래머스
- Component
- v9
- 브라우저
- array
- 원티드
- 프론트엔드
- 자바스크립트
- 컴포넌트
- 알고리즘
- localstorage
- axios
- firebase
- Redux
- CORS
- state
- es6
- 프리온보딩
- til
- react
- 파이어베이스
- Frontend
- 비트 연산자
- JS
- 리액트
- 타입스크립트
- TypeScript
- JavaScript
- react localStorage
- Reduce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ross browsing (1)
도리쓰에러쓰
1.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웹 페이지 제작 시 모든 브라우저에서 깨지지 않고 의도한 대로 나오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크로스 브라우징을 고려하지 않으면 HTML, CSS, JS 등 코드가 원하는대로 작동이 안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브라우저마다 렌더링 엔진이 다르기 때문에 전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정해줘야 한다. 💡 렌더링 엔진: 페이지를 렌더할 때 실질적으로 페이지를 작업해주는 브라우저의 엔진 (웹킷, 프레스토 등등) 2. 크로스 브라우징 사전 대응 방법 우선 가장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브라우저를 알고 있는게 중요하다. 🔽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여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브라우저가 어떤게 있는지 알아본 후 그 브라우저를 타겟으로 잡아 대응해야한다. Statcounter Global Stats..
Front-end
2022. 8. 5. 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