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액트
- TypeScript
- localstorage
- 자바스크립트
- 원티드
- JS
- CORS
- 파이어베이스
- JavaScript
- axios
- Redux
- firebase
- v9
- 타입스크립트
- 알고리즘
- 비트 연산자
- 프리온보딩
- 프론트엔드
- react localStorage
- react
- 프로그래머스
- 브라우저
- 컴포넌트
- Reducer
- es6
- state
- til
- Component
- array
- Frontend
- Today
- Total
목록Study (126)
도리쓰에러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rid50/btryNkLUazW/z83fJSaKkYV05ozTdIYXw1/img.png)
코딩테스트를 진행하면서 가끔 헷갈리는 메서드가 존재하는데 자세하진 않지만 확인용으로 간단하게 작성해보았다. 'dori'[1];// 'o' 'dori'.includes('or');// true 'dori'.indexOf('r');// 2 'dori'.startsWith('i');// false 'dori'.endsWith('i');// true 'dori'.slice(0,3);// 'dor' 'dori'.slice(2);// 'ri' 'dori'.toUpperCase();// 'DORI' 'dORi'.toLowerCase();// 'dori' 'dori'.replace('or', 'hh');// 'dhhi' 'dori'.repeat(3);// 'doridoridori' 'do ri'.spli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rSoj/btryOUevUwz/F4zdZuxkQANAhVsZhU1uA0/img.png)
D-day 기능을 구현하면서 밀리초 계산이 헷갈렸다. 우선 변수 setDate와 변수 nowDate를 new Date() 객체를 통해 날짜 데이터를 저장하고, const setDate = new Date("2022-09-25T00:00:00+0900"); const nowDate = new Date(); 아래 코드를 통해 계산할 날의 밀리초를 변수 distance에 넣었다. const distance = setDate.getTime() - nowDate.getTime(); 이제 밀리초를 어떻게 일, 시, 분, 초로 표현할까? 우선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다. 계산할 날의 밀리초 / (1000 * 60 * 60 * 24) = 일 (계산할 날의 밀리초 / (1000 * 60 * 60)) % 24 = 시 (계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N17C/btryM0mEnHg/pZoBpvNijktB55iZZmmOKK/img.png)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배열 메서드를 많이 접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배열 메서드를 블로그에 남기고 머릿속에 남기고 싶어서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1️⃣ 배열에 값 추가 혹은 삭제하는 메서드 // 배열 끝에 값 추가 [1, 2, 3].push(4);// [1, 2, 3, 4] // 배열 끝에 값 삭제 [1, 2, 3].pop();// [1, 2] // 배열 앞에 값 추가 [1, 2, 3].unshift(4);// [4, 1, 2, 3] // 배열 앞에 값 삭제 [1, 2, 3].shift();// [2, 3] 2️⃣배열 조작하는 메서드 // 배열 합치기 ['a', 'b', 'c'].concat(['d', 'e'], 'f');// ['a', 'b', 'c', 'd', 'e', 'f'] // 배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k4eu/btryJCUcxrU/dRFKegjXr9plKw4fLpFKY0/img.png)
Set 객체는 ES6에서 지원하는 새로운 데이터 Object입니다. Set 객체는 배열 내에 중복되는 원소를 제거해줍니다. 아래 코드는 Set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let arr1 = [1, 2, 3]; let arr2 = [2, 4, 6]; let setArr = [...new Set([...arr1, ...arr2])]; console.log(setArr);// [1, 2, 3, 4, 6] - [...array] : 배열의 값이 아닌 내용만 복사 (ES6 Spread Operator 참고) 🚨 Set 객체는 데이터 타입을 구분하기 때문에 숫자 1과 문자열 "1"은 다르다는 점 유의해주세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WTCo/btryO5trm5K/CiA6tPBKTKi73f6R6GEukK/img.png)
ES6에서는 더 간결하고 가독성 있는 객체 리터럴 기능 3가지를 제공했습니다. 지금부터 그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프로퍼티 축약 표현 기능 - 객체 리터럴의 프로퍼티는 프로퍼티 키와 프로퍼티 값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ES5 let a = 1, b = 2; let c = { a: a, b: b }; console.log(c);// {a: 1, b: 2} - ES6에서는 프로퍼티 값으로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변수명과 프토퍼티 키가 동일한 이름일 때 프로퍼티 키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 키는 변수명으로 자동 생성) // ES6 let a = 1, b = 2; let c = { a, b }; console.log(c);// {a: 1, b: 2} 2. 계산된 프로퍼티명 - ES5에서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1eWmh/btryMZad1Kt/hvQYcihKmxyqEcQa5S0MT0/img.jpg)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Level1 풀이 모음입니다. Ctrl + F 를 이용해 문제 풀이를 찾아주세요. 🔽 알고리즘 문제 (프로그래머스 사이트) 코딩테스트 연습 기초부터 차근차근, 직접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programmers.co.kr 💡 행렬의 덧셈 function solution(arr1, arr2) { return arr1.map((arr, index) => arr.map((x, y) => x + arr2[index][y])); } 💡 두 개 뽑아서 더하기 function solution(numbers) { var answer = []; for(let a = 0; a < numbers.length-1; a++) { for(let b = a+1; b < numbers.length; b++)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ihUc/btryKhoMNnG/s1Vlz8QZ5h8xp09J8fAdr1/img.png)
null 병합 연산자(Nullish Coalescing Operator)는 ES11에 도입된 새로운 연산자입니다. null 병합 연산자(Nullish Coalescing Operator)는 변수에 기본값을 설정할 때 유용한 연산자인데, 그럼 지금부터 null 병합 연산자(Nullish Coalescing Operator)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null 병합 연산자 (Nullish Coalescing Operator) 좌항의 피연산자가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 우항의 피연산자를 반환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좌항의 피연산자를 반환합니다. 사용 방법 : 좌항 ?? 우항 1️⃣ 좌항의 피연산자가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 let name = null ?? 'dori'; co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O3I7/btryO4H5geN/K8EWUx4bddTT0AKwfIJWaK/img.png)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Optional Chaining Operator)는 ES11에 도입된 새로운 연산자입니다.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Optional Chaining Operator)란 과연 무엇인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Optional Chaining Operator) 좌항의 피연산자가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항의 프로퍼티 참조를 이어갑니다. 사용 방법 : 좌항?.우항 1️⃣ 좌항의 피연산자가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 const name = null; const length = name?.length; console.log(length);// undefined : 좌항인 name이 null이기..